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3)
[프로젝트] 부동산 실거래가 정보 제공 사이트 한학기 동안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2명이서 진행하는 관통 프로젝트를 완성했다.사실 많이 어렵거나 고난이도의 프로젝트는 아니었지만 프로젝트를 하면서 배운 내용이 몇 가지 있어 정리해봤다.우선 프로젝트 요구 사항을 정리해보면 1. 공공데이터(부동산 실거래가 & 매물 데이터 등등)를 활용하기2. (프론트) 지도 API를 활용하기3. (백) open AI 활용해서 AI 활용한 서비스 추가하기4. 기본 CRUD 활용해서 회원관리, 게시판 관리 기능 여기다가 추가적으로 REST API 활용하고, Spring Security와 JWT 활용해서 보안성을 높이는 것까지 구현했다. 2인 프로젝트다보니 프론트 백 구분 없이 기능 단위로 그냥 잡히는 대로(ㅎㅎ) 나눠서 했는데 내가 주로 담당한 건 1. 관리자 페이지 (공..
[졸업프로젝트] 직접 발행한 토큰으로 dApp 개발 우리 프로젝트는 물품(중고책) 기증을 받아, 판매 수익이 발생하면 해당 수익금을 기부하는 프로젝트이다. 그 과정에서 기부 절차 및 거래 과정의 투명성을 위해 블록체인 위에서 거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기부한 지분을 나타내는 "토큰"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한다. 자, 그렇다면 물품 구매자가 지불한 금액 만큼, 물품 기증자에게 토큰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dApp 개발에는 크게 3가지 과정이 있다. 1. 블록체인 위에서 거래가 이뤄질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 가장 포괄적이고 많은 체인에서 호환되는 Solidity 언어로 작성. 2. 이 스마트 컨트랙트가 분산화된 체인 위에서 돌아갈 수 있도록 배포 ->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체인인 Polygon의 테스트넷인 Mumbai Ne..
CNN 모델과 Vision API 활용하여 옷 종류 구분하기 딥러닝이라곤 구글 코랩에서 제일 간단한 모델 두어 개 정도 코드 베껴서 해본 게 다였는데 프로젝트 주제를 회의하다 보니까 다들 욕심이 나서 딥러닝, 그 중에서도 이미지를 통해 객체를 탐지하는 기술을 사용해보자는 의견이 나왔다. 사실 주제도 많이 바꼈는데 이제와서 생각해보니까 아예 사용하고 싶은 기술을 먼저 찾고 공부하면서 활용할 수 있는 주제를 생각해보는 게 좋았을 것 같다. (이제와서 후회한들 뭐하리..~) 아무튼, 프로젝트에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구체화된 기술 중에 '이미지를 통해 옷을 구분하기'가 있어서 해당 내용을 공부해보기로 했다. 우선,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를 검색해보다가 keras를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는 CNN 모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CNN이란, Convolutional Neur..